메뉴 건너뛰기

지역별 보기

#민속놀이

인제군의 민속놀이는 우리나라 다른 지방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를 거의 다 간직하고 있습니다.
인제는 특히 생업살아가기 위해 하는 일 민속이 잘 보존잘 보호하고 간수하여 남긴다되어 있습니다. 뗏목, 숯가마, 화전, 선질꾼처럼 아주 독특한 형태로 발전해 왔습니다.

#인제읍

인제뗏목 뗏목아리랑

인제에서 벌채한 나무는 뗏목으로 만들어져 춘천을 지나 한양으로 옮겨졌습니다. 뗏목꾼들은 강치성뗏목 위에 돗자리를 깔고 재물을 차려놓고 지내는 제사을 드리고 위험과 외로움을 무릅쓰고 2인이 1조가 되어 출발했다고 합니다. 뗏목놀이는 나무를 운반하는 과정의 모습을 재현한 놀이입니다. 이때 부르던 노래가 인제 뗏목 아리랑입니다.

군량동 채독 만들기

인제의 귀둔리는 고려 때부터 군량을 저장하여 온 고장이라 해서 현재도 군량동이라고 불립니다. 이곳에서는 곡식을 저장하기 위해 싸리나무로 채독을 만들어 사용해왔습니다. 군량동 채독독 모양으로 만들고 안팎으로 종이를 바른 채그릇. 산간 지방에서 마른 곡식을 담을 때 많이 사용한다. 만들기 놀이는 입산-채독만들기-채독모으기-한마당놀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채독은 싸리나무를 이용하여 곡식을 담는 용기로 옛날에는 농가에서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싸리나무로 만든 채독은 바람이 잘 통하여 곡식이 부패되는 일이 없고, 다른 용기로 담고 퍼내는데 편리하며 많은 양을 담을 수 있어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조상들의 슬기로운 생활의 지혜가 담긴 전통입니다. 채독은 [싸리나무 베기]→[싸리가지 껍질벗기기]→[싸리가지 휘어놓기]→[채독만들기]→[채독에 진흙이나 종이바르기]의 과정으로 만들었습니다. 이런 내용을 바탕으로 1991년에는 민속놀이로 재연하기도 하였습니다.

인제 하추리 도리깨질 소리

하추리는 산촌으로 힘든 일은 마을 사람들이 같이 하는 경우에 많습니다. 이때 같이 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도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도리깨질은 도리깨라는 도구를 사용에 곡식의 낱알을 털어내는 활동을 말합니다. 이때 부르던 노래가 도리깨질소리입니다. 하추리 도리깨질소리는 도리깨로 곡식을 터는 소리를 시작으로 턴 곡식을 키질하는 소리, 키질로 정제한 곡식을 절구로 찧는 소리, 이웃에서 떡을 해와 함께 나눠 먹으며 자식을 잃은 노부부의 슬픔을 달래고 마을의 축제로 승화시키는 소리로 이루어졌습니다.

더 알아보기

나의 고장 이야기 우리마을 구석구석
E-BOOK 평화와 생명의 중심나의고장 하늘내린 인제
인제교육과정 공식Youtube 나의고장 하늘내린 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