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별 보기

#인제읍

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군의 주요 건물이나 기관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가아리

옛날 이름은 개면이·가면이·가아면촌으로 불렸습니다. 개면이·가면이란 이름의 유래는 땅의 모양이 마치 개미를 닮았다고 해서 ‘개아미리(개미의 방언 형태)’라고 불렸습니다.

남북리

원래 동면 지역인데, 남리와 북리로 구분됐던 이 지역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합쳐 남북리(南北里)라고 지명했습니다.

남북리전경

덕산리

산의 모양이 덕이 있어 보인다는 덕산 또는 덕봉이 마을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덕산이라 불립니다.

덕적리

덕절(德節)이 있어서 덕절골로 불리던 것이 변하여 덕적골 또는 덕적동이라고 합니다.

고사리

고새울 또는 고사촌(古沙村), 고사동(古沙洞)이라고 부르던 것이 고사리로 지명되었습니다.

원대리

과거에 원(院)집이 있었던 곳이라 원터, 원대라고 부른다는 이야기와 관음원이라는 작은 암자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하추리

추동(楸洞)의 아래쪽에 위치하여서 하추동이라고 하였던 이름이 하추리가 되었다고 합니다.

귀둔리

‘귀둔’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춘천 기린현에 속한 땅이었을 당시, 한 모퉁이에 귀[耳]같이 붙어있는 땅이라고 해서 귀둔·이둔이라고 불렀답니다.

가리산리

마을이 가리봉 또는 가리산 아래에 있다고 하여 가리산이라고 불립니다.

합강리

내린천과 인북천이 합쳐지는 곳이므로 합강(合江)이라고 불리는 마을입니다.

합강리 느티나무

60년데 합강리배터

상동리

상도리, 하도리, 동리로 구분되어 있던 지역을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상동리로 이름을 바꿨습니다.

60년대 인제읍사거리

나의 고장 이야기 우리마을 구석구석
E-BOOK 평화와 생명의 중심나의고장 하늘내린 인제
인제교육과정 공식Youtube 나의고장 하늘내린 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