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역별 보기

#북면

보물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영조 1748년,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극락세계 즐거움만 있는 곳으로 괴로움이 없으며 자유로운 세상중생불교에서 생명을 가진 모든 생물을 가리키는 말을 위해 자비를 베푼다는 아미타부처님입니다.
얼굴은 네모형태로 큰 이마와 코, 가늘게 뜬 눈과 작은 입이 1700년대 불상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어깨와 가슴을 넓게 표현하고 양쪽 다리는 결가부좌가부좌는 오른발을 왼쪽 허벅지 위에 얹은 다음 왼발을 오른 허벅지 위에 얹어 앉는 자세이다. 를 풍성하게 조각하여 부처의 위엄존경하거나 두려워할 만한 기운 및 태도을 표현했습니다. 불상 내부에서는 수행 과정에서 쓰는 발원문을 포함해 저고리와 유리, 수정과 같은 보석들이 발견 되었습니다.

더 알아보기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복장유물

봉정암 오층석탑

설악산 정상에 위치한 봉정암 오층석탑은 고려 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보입니다. 거대한 자연 암석을 기단으로 삼은 석탑은 균형미가 아름답습니다.

더 알아보기

봉정암

봉정암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

통일 신라 시대 석탑의 대표적인 모습이며 9세기 중반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받침대 역할을 하는 기단을 2층으로 두고, 그 위로 3층의 탑신을 놓았습니다.

더 알아보기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삼층석탑과 전체적으로 비슷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남 삼층석탑은 한계사지 금당터에 있고 북 삼층석탑은 절 밖 산기슭에 세워져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사적

한계산성

고려 고종 46년(1529년), 몽고군이 한계 산성을 공격하지만 실패로 돌아갑니다. 퇴각하던 몽고군을 안홍민 장군이 야별초군을 이 끌고 물리칩니다. 한계산성은 이 사건의 역사적 가치를 높게 사 2019년에 사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전설로는 신라 경순왕 때 축조되었다고 하며, 마의태자(麻衣太子)가 신라부흥운동을 할 때 성을 만들고 군사를 훈련시켰다고 합니다. 한계산성의 성벽은 천연의 절벽을 이용했다고 전해집니다.

더 알아보기

한계산성 하성 남문지 일대 모습

한계산성 천제단

한계산성 출토 기와편(우측 와편에는 원나라 연호인 至正十八이라는 글자가 있음)

한계산성 상성 출토 청동유병

한계산성 하성 남문지 일대 모습

강원도 기념물

한계사지

통일 신라 시대 때 세워 조선시대 때 없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한계사가 있던 자리입니다. 한계사는 자주 불이 나서 여러 번 자리를 옮겼는데 그때마다 절 이름을 운흥사, 심원사, 선구사, 영취사 등으로 고쳤다고 합니다. 그 후 1457년 지금의 백담사 자리로 옮겨 백담사라고 칭하였습니다. 통일 신라 시대의 유물인 석탑, 석등, 석불부터 조선 시대의 명문기와까지 발견되고 있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기

한계사지

한계사지

나의 고장 이야기 우리마을 구석구석
E-BOOK 평화와 생명의 중심나의고장 하늘내린 인제
인제교육과정 공식Youtube 나의고장 하늘내린 인제